자바(JAVA)/미니 프로젝트 & 기초 공부

Java 기초 또 다시 공부하기 1일차 - 자바 특징, 자바 개발 환경 구축, 자바 프로그램 개발 과정

개발학생 2025. 5. 16. 16:20
반응형

1. 자바 특징

  •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핵심 언어로 사용
  • 자바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
  • 객체(부품)를 만들고 서로 연결해서 더 큰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기법을 위한 최적의 언어
    ->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, Object Oriented Programming)
  • 메모리(RAM)를 자동으로 관리하여, 개발자가 메모리를 관리하지 않고 핵심 기능인 코드 작성에 집중하게 함
  • 무료로 다운로드 및 사용이 가능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(open source library)가 풍부하므로, 프로그램 개발 기간 단축

2. 자바 개발 환경 구축(아래 글들을 참고하여 구축했습니다) 

  • JDK11 설치 및 환경 변수(JAVA_HOME) 설정 - CLASSPATH는 추가하지 않음
 

자바(JAVA) 11 설치 및 환경설정 | 자바 11 환경 변수

자바로 코딩 공부를 하려면 개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. 그 순서를 먼저 작성하자면JAVA SE JDK 설치 -> JAVA 환경 변수 설정 -> IDE 설치 이렇게 볼 수 있겠다. 이 포스팅은 자바로 개

velog.io

  • 톰캣 설치, 이클립스 설치 -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Tomcat 8버전이 없어, Tomcat 9버전 설치
 

JSP) JDK, 이클립스(eclipse), 톰캣 설치 및 환경 설정

1. JDK 설치 → Path 설정 2.eclipse JAVA EE버전 다운로드 3.웹컨테이너 톰캣 설치 →톰캣 환경설정 1. JDK 설치 - JAVA) 1. JDK 참고하여 설치하고 설정한다. -https://storyblogger.tistory.com/15?category=984696 2. 구글에

storyblogger.tistory.com

  • 이클립스 JDK 버전 설정 - JDK11로 설정
 

[이클립스] JDK 버전 바꾸는 법

스프링을 사용하는 에러가 난다? 그러면 JRE 버전을 확인해보자! 프로젝트의 JRE System Library의 오른쪽을 살펴보면 [JavaSE-17]이라고 되어있다. 스프링이나 하이버네이트를 사용할 때, 자바 8이나 자

myvelop.tistory.com

  • JDK 설치 및 환경 변수(JAVA_HOME) 설정, 톰캣 설치, 이클립스 설치 및 JDK 버전 설정 이후~ ⇒ 톰캣 버전과 jsp 파일 경로는 글 내용과 다르게 아래 이미지와 같음

 

JAVA/JSP 1. 개발 환경 구축 - 이클립스 기본 설정

*JDK 설치 및 환경 변수(JAVA_HOME) 설정, 톰캣 설치, 이클립스 설치를 완료한 상태OpenJDK 11: 자바 프로그램을 컴파일하고 실행해주는 기본 도구*이클립스 JDK-17이 설치되어있어서, https://coding-house.tisto

keep-programming-study.tistory.com

3. 자바 프로그램 개발 과정

java 프로그램 개발 프로세스

1) C 드라이브에 .java 파일 생성 및 자바 코드 작성(코드는 파일 우클릭 후 메모장에서 편집)

예시: AAA.java

public class AAA {
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System.out.println("Hello, World!");
  }
}

 

2) 컴파일(javac 명령어 실행)

  • 윈도우 환경이므로 명령 프롬프트(CMD)를 열고,
    .java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로 이동한 후
    javac AAA.java 명령어를 입력하면 AAA.class라는 컴파일된 바이트코드 파일 생성

cd ../..으로 .java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로 이동한 후 명령어 입력
AAA.class 파일이 아래에 생성됨

3) 실행 java AAA 명령어로 AAA.class 파일을 실행하면 "Hello, World!"라는 문자열 출력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