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*POSTECH 청년 AI · Big Data 아카데미(https://pabi.smartlearn.io/)의
'Computational Thinking (컴퓨팅 사고) Ⅰ' 코스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
1. 계산으로 풀 수 있는 문제
- 생각하는 과정이 필요함
- 어떤 형태로든 암산을 거쳐야 함
- 난이도에 따라 종이에 중간 결과를 적어야 함
예시 1 - 생활기록부 처리 (생활기록부 더미가 있다고 가정)
- 생년월일이 가장 빠른 학생은?
- 생일이 1월인 학생은 몇 명인가?
- 성적 평균은 얼마인가?
- 성적 순으로 학생 이름을 나열하라
예시 2 - 자전거 여행 (여러 도시를 자전거로 방문하려 하고, 도시당 최단 거리는 정해져 있음)
- 도시 5곳을 최단 거리로 방문하려고 한다. 어떤 순서로 방문하면 될까?
- 도시 20곳을 최단 거리로 방문한다면 그 순서는?
예시 3 - 시험 일정 짜기
(동 시간에 여러 과목 시험을 볼 수 있고, 공통 수강생이 있는 과목은 같은 시간대에 배정 불가)
- 과목별 수강생이 주어졌을 때, 어떻게 시험 일정을 짤까?
2. 생활기록부 성적 평균 구하기
1) 계산 과정
1. 성적을 모두 더한다.
2. 학생 수를 구한다.
3. 성적 총합을 학생 수로 나눈다.
*계산 과정 확장
2) 필요한 가정
1. 성적을 모두 더할 수 있다.
2. 학생 수를 구할 수 있다.
*추가로 필요한 가정
반응형
'컴퓨터공학 공부 > SmartLearn - PABI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컴퓨팅 사고 - 알고리즘 (0) | 2022.10.14 |
---|---|
1. 컴퓨팅 사고 - 2진법, 정보의 표현 (0) | 2022.10.09 |
컴퓨팅 사고 I: WEEK 3-1, 3-2 (0) | 2022.09.29 |
컴퓨팅 사고 I: WEEK 2-1, 2-2 (0) | 2022.09.25 |
컴퓨팅 사고 I: WEEK 1-3, 1-4 (0) | 2022.09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