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POSTECH 청년 AI · Big Data 아카데미(https://pabi.smartlearn.io/)의
'Computational Thinking (컴퓨팅 사고) Ⅰ' 코스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
3. 계산의 네 가지 요소
1) 계산 대상
-이게 있어야만 계산을 시작할 수 있음
2) 계산 언어
-이것의 표현 범위에 따라 계산 과정을 간결하게 기술하거나, 세세하게 기술해야 할 수 있음
3) 계산 과정
-계산 수행 주체가 이해하는 계산 언어를 써야 함
-실제 답을 구할 아이디어를 찾아 계산을 설계하고, 계산 언어에서 허용하는 단어와 표현만을 조합하여 기술
-> 계산으로 문제를 풀 때 핵심: 계산 설계 (계산으로 답을 구하기까지의 시간을 결정)
=> 설계가 엉망일 때: 계산 수행 주체의 능력이 뛰어나도 시간이 한참 걸림
=> 설계를 잘 했을 때: 계산 수행 주체의 능력이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
4) 계산 수행
-기술한 계산 과정에 따라, 종이와 연필/암산 등으로 계산을 수행해서 최종 답을 구함
-계산 과정에서 기술하지 않은 과정은 포함시켜서는 안 됨
4. 계산 설계하기
* 알맹이 요약하기 예시
1) 계산 언어의 확장
- 기존 연산과 명령의 조합으로 새로 만들 수 있음
예시) X 곱하기 Y = X 더하기 X 더하기 ... 더하기 X (Y번 더함)
- 연산과 명령을 구분하는 이유
: 연산은 다시 수행해도 결과가 똑같고 전체 설계가 덜 복잡해지는데,
명령은 수행할 때마다 결과가 달라지고 전체 설계가 복잡함
2) 예시: 생활기록부 성적 평균 구하기
- 계산 과정:
(1) 성적 총합으로 종이에 0을 쓴다
(2) 성적을 순서대로 헤아리며 개별 성적을 총합에 더해서 덮어쓴다.
2-1. 더미 맨 위에 적힌 성적을 읽는다.
2-2. 읽은 성적을 총합에 더해서 기억한다.
2-3. 종이에 새로운 성적 총합을 덮어 쓴다.
2-4. 성적이 남아 있으면 2-1로 돌아간다.
(3) 학생 수로 다른 종이에 0을 쓴다
(4) 다시 성적을 순서대로 헤아리며, 학생 수에 1 더해서 덮어쓴다.
(5) 성적 총합을 학생 수로 나눈다.
- 계산 언어에서 허용하는 기본 계산 과정: 덧셈, 나눗셈 등..
'컴퓨터공학 공부 > SmartLearn - PABI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컴퓨팅 사고 - 알고리즘 (0) | 2022.10.14 |
---|---|
1. 컴퓨팅 사고 - 2진법, 정보의 표현 (0) | 2022.10.09 |
컴퓨팅 사고 I: WEEK 3-1, 3-2 (0) | 2022.09.29 |
컴퓨팅 사고 I: WEEK 2-1, 2-2 (0) | 2022.09.25 |
컴퓨팅 사고 I: WEEK 1-1, 1-2 (0) | 2022.09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