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/02 3

컴퓨터공학 공부 다시 시작하기 16주차 - 리눅스 파일 시스템과 쉘 이해하기, 리눅스 파일 기본 명령어 이해하기, 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 명령어 이해하기

리눅스 파일 시스템과 쉘 이해하기리눅스와 파일- 모든 인터렉션은 파일을 읽고 쓰는 것처럼 이루어져 있음  -> 마우스, 키보드와 같은 디바이스 관련된 기술도 파일과 같이 다루어짐- 파일 네임스페이스로는 A 드라이브(A:/)나 C 드라이브(C:/windows)가 아닌, 전역 네임스페이스 사용   -> 예시: /media/floofy/dave.jpg쉘(shell)-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 간 인터페이스-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해서 커널에 명령을 요청해주는 역할- 관련 시스템콜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이 작성되어 있음쉘 종류- Bourne-AgainShell (bash):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, 리눅스 기반- Bourne Shell (sh)- C Shell (csh)- Korn S..

컴퓨터공학 공부 다시 시작하기 15주차 - 가상 머신과 운영체제 이해, 리눅스 배경지식 이해, 클라우드컴퓨팅 이해

가상 머신과 운영체제 이해가상 머신(Virtual Maching) 개요 - 하나의 하드웨어(CPU, Memory등)에 다수 운영체제를 설치하고, 개별 컴퓨터처럼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하이퍼 바이저 또는 버추얼 머신 모니터(VMM)- 운영 체제와 응용프로그램을 물리적 하드웨어에서 분리하는 프로세스의 소프트웨어Virtual Machine Type1(native 또는 bare metal)- 하이퍼 바이저 또는 버추얼 머신 모니터(VMM)가 Hardware에서 직접 구동  => (예시) Xen, KVM[아마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 사용]Virtual Machine Type2- 하이퍼바이저 또는 버추얼 머신 모니터(VMM)가 Host OS 상위에 설치됨  => (예시) VMWare, Virtual Box리..

컴퓨터공학 공부 다시 시작하기 14주차 - 파일 시스템 개념 이해, inode 파일 시스템 개념 이해, 부팅과 현대 운영체제 구조 이해

파일 시스템 개념 이해- 운영체제가 저장매체에 파일을 쓰기 위한 자료구조 또는 알고리즘파일 시스템이 만들어진 이유- 블록: 0과 1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때, 비트로 관리하기에는 오버헤드가 너무 커서 블록 단위로 관리(보통 4KB) -> 각 블록별로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- 파일: 사용자가 각 블록을 고유 번호로 관리하기는 어려우므로 '파일'이라는 추상적(논리적) 객체 필요 -> 사용자는 파일 단위로 관리하며, 각 파일은 블록 단위로 관리- 저장 방법: 저장매체에 효율적으로 파일을 저장하려면 가능한 연속적인 공간에 파일을 저장하는 게 좋은데, 외부 단편화/파일 사이즈 변경 문제로, 불연속 공간 파일 저장 기능 지원이 필요해짐 -> 블록 체인: 블록을 링크드..